대학 학년별 비율 계산방법 . 현재 입시 준비중인 고3입니다. 학종으로 준비하려고 등급을 계산 중인데, 헷갈려서
현재 입시 준비중인 고3입니다. 학종으로 준비하려고 등급을 계산 중인데, 헷갈려서 질문드려봅니다.학년마다 학기별 평균 성적을 총합하여 다시 평균을 내야 하나요, 아니면 학기 성적 전체를 총합하여 평균을 내야하는건가요?
대학 입시에서 학생부 종합 전형(학종)의 내신 성적 반영 방식은 대학마다, 그리고 학과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확한 계산을 위해서는 지원하고자 하는 대학의 입학처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수시 모집요강을 확인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고 정확합니다.
하지만 일반적인 내신 성적 반영 방식에 대해 설명해 드릴 수는 있습니다.
예를 들어, 1학년 20%, 2학년 40%, 3학년 40% 와 같은 식으로 학년별 반영 비율이 정해져 있습니다.
이 경우, 먼저 각 학년의 평균 등급(또는 점수)을 계산해야 합니다.
고1 평균 등급 계산: 1학년 1학기 과목 등급과 1학년 2학기 과목 등급을 합산하여 1학년 전체 평균을 냅니다.
고2 평균 등급 계산: 2학년 1학기 과목 등급과 2학년 2학기 과목 등급을 합산하여 2학년 전체 평균을 냅니다.
고3 평균 등급 계산: 3학년 1학기 과목 등급을 계산합니다 (학종은 주로 3학년 1학기까지의 성적을 반영합니다).
이렇게 계산된 각 학년의 평균에 해당 학년의 반영 비율을 곱하여 총점을 계산합니다.
(1학년 평균 등급 x 0.2) + (2학년 평균 등급 x 0.4) + (3학년 평균 등급 x 0.4) = 최종 내신 점수/등급
학년별 반영 비율 없이 전체 석차 등급 평균을 내는 경우 (드물지만 존재):
일부 대학이나 전형에서는 단순히 고등학교 전 학년(3학년 1학기까지)의 모든 이수 과목 등급을 합산하여 총 이수 단위로 나누는 방식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이 방식은 학기별, 학년별 가중치 없이 단순히 전체 평균을 내는 방식입니다.
질문해주신 "학년마다 학기별 평균 성적을 총합하여 다시 평균을 내야 하나요, 아니면 학기 성적 전체를 총합하여 평균을 내야하는건가요?"에 대한 답변:
대부분의 경우 "학년마다 학기별 평균 성적을 총합하여 다시 평균을 내는 방식" (즉, 1번 방식)이 적용됩니다. 여기서 '총합하여 다시 평균을 낸다'는 의미는, 1학년 1학기 과목들의 등급 평균과 1학년 2학기 과목들의 등급 평균을 내서 그 둘을 합산한 뒤 1학년 전체의 평균 등급을 낸다는 의미보다는, 1학년 전체의 모든 과목을 합쳐서 1학년 평균을 내고, 2학년 전체의 모든 과목을 합쳐서 2학년 평균을 내는 방식에 가깝습니다.
핵심은 "대학이 어떤 방식으로 과목별 등급/점수를 반영하는가"입니다. 대학들은 보통 단순 등급 평균이 아니라, 석차 등급, 이수 단위(학점), 원점수, 평균, 표준편차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자체적인 산출 방식을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학종에서는 단순 등급 외에 과목별 세특(세부능력 및 특기사항), 교과 이수 현황, 과목 선택의 적절성 등도 중요하게 평가합니다.
**지원 희망 대학의 2026학년도 수시 모집요강 (혹은 2025학년도 참고)**을 확인하세요. (2026학년도 수시 모집요강은 보통 2025년 5월 말~8월 초에 최종 발표됩니다. 현재 시점에서는 2025학년도 모집요강을 참고하되, 변경될 수 있음을 염두에 두세요.)
모집요강에 나와 있는 '학생부 반영 방법' 또는 '내신 성적 산출 방법' 부분을 꼼꼼히 읽어보세요.
많은 대학들이 내신 성적 산출 모의 계산기를 입학처 홈페이지에서 제공하기도 합니다. 이를 활용하면 더 편리하게 자신의 성적을 계산해 볼 수 있습니다.
지금은 고3이시니, 3학년 1학기 성적까지 최선을 다해 관리하시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