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특성화고 전학 5월달에 특성화고 전학을 가려 했는데 조금만 더 다녀보고 결정하자 해서
5월달에 특성화고 전학을 가려 했는데 조금만 더 다녀보고 결정하자 해서 결국엔 못갔습니다 그 결정에 대해선 후회하고 있구요 최근에 몸이 아파서 딱 한번 질병 결석을 했는데 선생님께 듣기론 전학가려면 결석이 없어야 한다고 들어서요 9월달에 다시 또 전학 공고가 뜨는데 질병 결석 한번한거 전학 가는데 영향 미칠까요? 설마 한번 빠진걸로 전학 못가나요?진짜 진지합니다… 인문계 너무 버거워요 이쪽으로 잘 아시는분들 정보 좀 알려주세요..
질병 결석 1회가 전학에 미치는 영향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질병 결석 1회만으로는 전학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일반적으로 특성화고 전학 시 학교생활기록부를 심사하는 과정에서 출결 상황을 중요하게 보긴 합니다. 하지만 여기서 중요하게 보는 것은 '잦은 무단결석'이나 '지각, 조퇴, 결과가 많은 경우' 등 학업 의지가 부족하다고 판단될 수 있는 지속적인 출결 문제입니다.
딱 한 번의 질병 결석은 불가피한 사유로 발생한 것으로 간주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학교 측에서도 학생이 아파서 학교를 못 나온 것을 가지고 '전학 불허'의 주된 사유로 삼기는 어렵습니다.
전학 준비 시 중요한 점
9월 전학 공고를 기다리면서 다음과 같은 점들을 준비하시면 좋습니다.
진정성 있는 학업 계획: 특성화고에 왜 가고 싶은지, 가서 어떤 분야를 공부하고 싶은지, 졸업 후의 진로 계획은 무엇인지 등을 구체적이고 진정성 있게 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단순히 인문계가 힘들어서가 아니라, 해당 특성화고의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와 열정을 보여주는 것이 좋습니다.
교과 성적 관리: 전학하려는 특성화고의 해당 학과와 관련된 과목의 성적을 최대한 잘 관리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면접 준비: 전학 시 면접을 보는 경우가 많습니다. 위에서 말씀드린 학업 계획과 열정을 잘 전달할 수 있도록 미리 연습해두세요.
담임 선생님과의 상담: 담임 선생님께 솔직하게 현재 상황과 전학 의지를 말씀드리고 도움을 요청하는 것이 좋습니다. 선생님이 전학 절차나 필요한 서류 등에 대해 조언해주실 수 있습니다. 학교생활기록부 관리에 대해서도 상의할 수 있습니다.
특성화고 직접 문의: 가장 정확한 정보는 전학을 희망하는 특성화고에 직접 문의하는 것입니다. 전학 담당 부서에 전화해서 '질병 결석 1회가 전학 심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솔직하게 여쭤보세요. 학교마다 전학 심사 기준이 조금씩 다를 수 있으니 직접 확인하는 것이 가장 확실합니다.
인문계가 버거우시다면, 특성화고로의 전학을 통해 새로운 학업 환경에서 잠재력을 펼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한 번의 질병 결석으로 너무 걱정하지 마시고, 9월 전학 준비에 집중하시길 바랍니다. 힘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