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의 특이한 구형 상용차들의 방향지시등

우리가 흔히 아는 방향지시등이라고 하면 이런원리인데 유럽의 구형 상용차들 대시보드를 보면 방향지시등을 통합해놓은것처럼 이런식으로 한개로만 된 경우가 많은데 왜 그런것인가요?그렇게 만들수밖에 없는 이유가 있나요?이거 관련해서 아시는분 계시면 궁금증 해결 부탁드립니다.
그 당시 차들의 유행하던 디자인이라고 보면 됩니다.
6~70년대 유럽이나 일본 차들 보면 사이드미러가 요즘처럼 운전석 문 A필러에
붙은게 아니라 보닛 앞 쪽에 있는 차들이 많았죠.
그러다 중간 쯤으로 옮겨지고 80년대 들어서면서부터는 지금의 위치로 가는
추세였구요. 그 당시 미국 차들 보면 사이드 미러 왼쪽 운전석 쪽에만 있는
차들도 많았구요. 미국 도로 특성 상 좌회전을 크게 신경쓸 필요가 없는
마찬가지로 저 당시의 차들의 대시보드의 계기반에는
저런식으로 깜빡이를 양쪽에 배치가 아니라 하나의 패널에 저런식으로
당시 시대 보편적인 차량 설계나 인테리어 디자인이라고 생각하면 이해되실듯.
60년대 시트로엥 DS나 CV . 영국 미니. 그런 차들의 기어 위치나
작동방식, CV는 전후좌우 움직이는 방식 아니라
지금 차들 라디오 위치에 있고 옆으로 밀어서 앞으로 밀어서
각 차량마다 라이트 켜는 법(따로 있는 레버를 땡기는 겁니다).
와이퍼 작동 방식과 속도 조절 레버 별도로 있다던가,
이런 다양한 메이커의 각자의 방식들 유지하다가
지금 같은 디자인으로 거의 평준화되었지만 저 당시는 그런 과도기였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