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공익 갈 수 있을까요 제발 도와주세요 제가 훈련소에 입소한 후 3번의 폐쇠된 공간, 대인기피증으로 인해 3번의
제가 훈련소에 입소한 후 3번의 폐쇠된 공간, 대인기피증으로 인해 3번의 공황증세와 훈련소 밖 병원에서 적응장애 판정을 받고, 귀가증에서 불안장애, 공화증세 판정을 받아 집으로 귀가했습니다..진심으로 너무 힘듭니다....다시 그 지옥에 가기 싫기도 하고 공황증세에 대한 치료의 필요성을 느껴 앞으로 3개월간 꾸준히 일주일 간격으로 정신과에서 치료 받을 예정이고 그 후 재신검을 받을 예정인데...4급 뜰 수 있을까요..너무 걱정입니다.
최근에는 정신과 질병에 대해서는 현역병 판정을 상당히 제한 하고 있기 때문에, 사회복무요원
판정 가능성도 충분히 있습니다.
다만, 정신과 질병의 경우 기본적으로 최소 6개월 이상 (월 2회 이상) 통원 치료 사실이 확인 되어야
하고, 이러한 지속적인 치료에도 불구하고 질병 상태가 현역병 복무에 지장을 초래 할 정도 라는
사실이 의학적으로 증명 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6개월 이상의 통원 치료를 지속적으로 받으시고, 치료 받은 병원에서 병무용 진단서, 의무기록
사본(투약기록포함), 정밀심리검사 결과지를 발행 받고, 초중고 생활 기록부 사본도 준비하여 병무청
재검을 받아 보시기 바랍니다.
참고로 대학병원급의 병무청 지정 병원이 아닌, 비지정 병의원에서 치료를 받아도, 어차피 6개월 이상
치료를 받아야 하기 때문에 문제 될 것은 전혀 없습니다.
다만, 비지정 병원에서 치료를 받는 경우에는 치료를 시작 하기 전에 반드시 병무용 진단서 발행 가능
여부를 확인 하셔야 합니다.
비지정병원의 경우 가끔 병무용 진단서 발행이 안된다고 하는 병원도 있기 때문에 반드시 미리 확인
하셔야 한다는 것이고, 심리검사도 해당 병원 자체적으로 실시 가능한지도 확인 해 보시기 바랍니다.
비지정병의원들 가운데 심리 검사는 다른 병원에서 받고 오라고 하는 경우도 제법 있는데, 다른 병원에서
받아도 상관은 없지만 불편하고 번거로울 수 있기 때문에 이 부분도 확인 해 보는 것이 좋을 것 같아
드리는 말씀 입니다.
끝으로 심리검사 비용은 병원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제 동생이 병원장으로 있는 정신건강의학과 병원은 병무청이 요구 하는 K-WAIS, MMPI, SCT, SCL-90R,
RORSCHACH 검사에 한두가지 검사를 추가 한 검사 비용이 40만원 이던데, 이곳 지식인에 올라 오는
글들 가운데 7~80만원을 지불 했다는 글도 있어 심리 검사 비용도 미리 확인 해 볼 필요가 있다는 말씀을
드립니다.